M4300 무선랜 싱크방법 (마이미츠 펌)

2009. 4. 25. 14:26PC.인터넷.AV/스마트폰

M4300 무선랜 접속 문제(무선 싱크, P2P 인터넷연결 공유) 해결방법

김선진 08-10 17:58 | HIT : 9,890
한 이주 전 사이버뱅크PDA폰 쓰다가.. 번호이동까지 해서 삼성 M4300으로 바꿨습니다.

사실 가장 탐났던 기능이 무선랜이었던지라 사자 마자 무선 싱크를 해보려고 몇 일을 기를

썼는데.. 이곳 동호회 강좌를 죄다 뒤져서 유사한 설명을 다 보고 따라 해봐도 좌절을 맛봐야

했습니다. 그러다가 어저께는 뿌리를 뽑겠다고 아예 작심을 하고, 새벽 4시까지 씨름을 했지요.

그리고.. 결국은 성공했습니다. 접속 울림음의 그 짜릿한 쾌감이란.. 아마 경험해 보지 못하신

분은 모르실 겁니다. ^^

하여간.. 여러분들이 자상하게 설명을 해주셨지만.. 행간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어서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아마 저처럼 무선랜을 PDA에서 처음 사용해 보신 분들은 비슷한

고생을 하실 것 같아서.. 일단 제가 겪었던 시행착오 위주로.. 그것도 M4300과 네스팟이

갖고 있는 제품 특성(제가 볼 때 이것이 아마 주된 실패 원인일 거라 생각합니다만..)을

고려하여.. 성공율을 높일 수 있도록 단계별로 정리를 해봤습니다.

제가 설명할 내용은 크게 두가지입니다. 하나는 집에서 네스팟 무선 AP를 활용해 무선 싱크

하는 방법, 두번째는 사무실에서 무선 노트북과 P2P로 연결해 인터넷연결 공유를 활용하면서

동시에 무선 싱크하는 방법입니다. 자상하게 그림을 곁들여 설명드리지 못하는 점 널리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동안 M4300을 갖고도 무선랜의 진수를 경험해 보지 못하셨던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더불어 노하우를 공유해 주신 많은 동호회 선배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자~ 그럼 설명 들어갑니다.


-----------------------------------------------------------------------------------


<Nespot을 활용한 무선랜 싱크방법>

■ 준비 작업

1. USB를 사용해서 파트너관계를 설정하고 끊는다.

2. PDA에서 "설정/연결/연결" 순으로 이동해 "고급"을 태핑하고
모두 "회사네트워크"로 바꿔주고 OK 눌러 나온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설정/연결/연결"로 이동해 "네트워크카드"를
선택했을 때 "네트워크 카드를 연결할 대상"에 "기본 네트워크 설정"이
풀다운 메뉴에서 선택되어 있는 지 확인한다.
(여기에 아무런 제목이 없는 상태일 경우 PDA 상단 메뉴바 Tray에
"연결 메뉴에서 설정을 하라는 메시지가 나온다. 정상적일 경우는
Nespot 접속 후 "기본 인터넷 설정/네트워크 카드"라는 메시지가 뜬다.)

3. 다시 "설정/연결/연결" 순으로 이동해 이번에는 "작업"을 선택하고
항목 중 "VPN서버 편집" 선택 후 "새로 만들기" 선택한다.

4. "이름"에는 연결하려는 컴퓨터를 지칭하는 적당한 이름(예, Home PC)
을 넣고 호스트 이름에는 해당 컴퓨터의 이름(시스템에 등록된)을
적는다. 모두 "다음" 키를 누르고 OK를 눌러 빠져나온다.

5. PDA의 ActiveSync를 실행하고 아래 "옵션"을 선택해 PC탭에서
"~ 이 PC사용"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컴퓨터의 이름을 선택하고
"수동으로 동기화하는 동안~", 다시 "옵션"에서 "다음 연결을 사용하여~",
"연결 유지"를 체크하고 "모바일 일정"탭에서 제일 아래 "보내는 항목이
전송되었을 때 동기화" 체크를 끈 후 OK를 눌러 빠져나온다.

6. 마지막으로 PC의 ActiveSync를 실행해서 "파일"메뉴의 "연결설정을
선택하고 두번째 "RAS~"를 체크한다.

7. Pocket Hosts 프로그램(자료실에 뒤져보면 있습니다.)을 실행하고
연결하려는 컴퓨터의 이름(위 4번의 이름과 동일)과 IP어드레스(유선랜
연결 상태에서 "지원" 탭을 선택하면 확인 가능)을 입력하고 "ADD"를
누른다.(회사 인터넷과 달리 가정용 인터넷처럼 유동IP를 사용할 경우엔
이렇게 Pocket Hosts 프로그램이 반드시 필요하나, 고정IP를 사용하는
회사 인터넷에서는 한번만 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나면 그 다음부터는
따로 실행하지 않아도 된다.)

■ 연결 실행

1. PDA의 Nespot CM을 실행하여 무선랜을 ON하고 네스팟에 접속한다.

2. PDA의 ActiveSync를 실행하고 "동기화"를 선택한다.

3. 동기화가 끝나면 ActiveSync를 실행하고 "중지"를 선택한다.

4. 아래 상태바에서 Nespot 아이콘을 눌러 메뉴를 호출한 후 "종료"를
선택하여 무선랜을 OFF하고 네스팟을 종료한다.


<노트북 무선랜을 활용한 P2P 무선 인터넷 연결 공유 및 무선랜 싱크방법>

■ 준비 작업

1. 유선랜의 속성을 열고 "고급"을 눌러 "인터넷 연결 공유"항목의
"다른 네트워크 사용자가 이 컴퓨터의 인터넷 연결을 통해 연결할 수 있도록
허용"을 체크하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윈도XP에서는 이 설정에 의해 무선랜의 IP설정이 자동으로 192.168.0.1로
설정이 된다.)

2. 무선랜의 속성을 열고 "무선네트워크"를 연다.

3. "기본 설정 네트워크"에서 "추가"버튼을 누르고 SSID에 임의의 영문 이름을
적는다. 여기서 다른 설정은 건드리지 말고 맨 아래 "컴퓨터간 특별 네트워크
이며 무선 액세스 지점을 사용 안함"의 체크 박스를 체크하고 확인을 누른다.
(여기서 Nespot CM이 설치된 노트북 컴퓨터의 경우는 무선네트웍 설정의
"사용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웍 보기"를 실행해도 위에서 설정한 무선 네트웍이
활성화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는 Nespot CM을 한번 실행시킨 후 "종료"
를 시켜주면 활성화가 된다. 일단 이렇게 무선네트웍 설정이 활성화되어 연결
대기 상태가 되어야 그 다음 P2P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4. 마지막으로 PC의 ActiveSync를 실행해서 "파일"메뉴의 "연결설정을
선택하고 두번째 "RAS~"를 체크한다.

5. PDA에서 Nespot CM을 실행하여 무선랜을 ON한 후 메뉴의 "고급 기능"을 눌러
"추가" 버튼을 눌러 Profile을 추가한다.

6. "프로파일 이름"은 적당히 구별할 수 있는 이름을 적고, "네트워크 이름"은
위에서 SSID로 사용했던 이름을 적는다. 네트워크 모드는 "802.11 Ad-hoc"을
선택하고 나머지 선택사항은 체크하지 않고 "확인"을 누른다.

7. PDA에서 "설정/연결/연결" 순으로 이동해 "고급"을 태핑하고
모두 "회사네트워크"로 바꿔주고 OK 눌러 나온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설정/연결/연결"로 이동해 "네트워크카드"를
선택했을 때 "네트워크 카드를 연결할 대상"에 "기본 네트워크 설정"이
풀다운 메뉴에서 선택되어 있는 지 확인한다.
(여기에 아무런 제목이 없는 상태일 경우 PDA 상단 메뉴바 Tray에
"연결 메뉴에서 설정을 하라는 메시지가 나온다. 정상적일 경우는
"기본 인터넷 설정/네트워크 카드"라는 메시지가 뜬다.)

8. PDA의 ActiveSync를 실행하고 아래 "옵션"을 선택해 PC탭에서
"~ 이 PC사용"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컴퓨터의 이름을 선택하고
"수동으로 동기화하는 동안~", 다시 "옵션"에서 "다음 연결을 사용하여~",
"연결 유지"를 체크하고 "모바일 일정"탭에서 제일 아래 "보내는 항목이
전송되었을 때 동기화" 체크를 끈 후 OK를 눌러 빠져나온다.

9. 마지막으로 PC의 ActiveSync를 실행해서 "파일"메뉴의 "연결설정을
선택하고 두번째 "RAS~"를 체크한다.

10. Pocket Hosts 프로그램(자료실에 뒤져보면 있습니다.)을 실행하고
연결하려는 컴퓨터의 이름(위 4번의 이름과 동일)과 IP어드레스(노트북 무선랜
연결 상태에서 "지원" 탭을 선택하면 확인 가능, 인터넷 공유 Client역할을 하므로
192.168.0.1로 일반적으로 셋팅됨)을 입력하고 "ADD"를 누른다.

■ 연결 실행

1. PDA의 Nespot CM을 실행하여 무선랜을 ON하고 "프로파일"탭에서
위에서 설정한 SSID 프로파일을 선택한 후 "적용"을 눌러 P2P Ad-hoc으로
접속한다.

접속이 완료되면 PDA에서 인터넷 공유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유선랜이
사내 인터넷 전용선에 연결된 경우 무료로 PDA에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동기화까지 활용하고자 하면 아래 절차를 추가로 실행하면 된다.

2. PDA의 ActiveSync를 실행하고 "동기화"를 선택한다.

3. 동기화가 끝나면 ActiveSync를 실행하고 "중지"를 선택한다.

4. 아래 상태바에서 Nespot 아이콘을 눌러 메뉴를 호출한 후 "종료"를
선택하여 무선랜을 OFF하고 네스팟을 종료한다.




김선진님께서 작성하신 최근 게시물입니다.
M4300 무선랜 접속 문제(무선 싱크, P2P 인터넷연결 공유) 해결방법2005/08/10
고유 주소:http://www.mymits.net/zb/lecture/466트랙백 주소:http://www.mymits.net/tb/?id=lecture&no=466
이슈 게시물
날씨흐림님의 '[옴니아] NoData - 데이터 통신 제한 프로그램' 04-25
박세헌
(390점)

놀라운 내용을 정리하셨네요.. 감사 감사..08-11
박상현
(135점)

무선랜 사용하면 요금은 어떡해 나가나요?08-13
박상현
(135점)

완전 초보라.ㅠ_ㅠ08-13
송호근
(55점)

흠 무선랜으로 네스팟을 이용하시면 정액제 이신분은 별도 요금이 없습니다.정액 요금은 있겟지만요 그렇지 않고 P2P방식으로 무선랜싱크를 한다면 인터넷 요금은 없습니다. 보통 데탑으로 말하자면 랜카드끼리 크로스케이블로 연결해서 하는것과 같습니다. 인터넷 공유인 셈이니 박상현님이 전용성 정액요금 외에는 나올께 없습니다. 혹여나 실수로 CDMA로 접할 경우 난감하답니다.ㅋ08-14
박일
(135점)

흐흐 아무리 그래도 사사미에서 유무선 공유기을 인식하지 못하니모든것이 소용없음, 시그마리온3, 노트북 전부 무선랜로으로 연결해서 잘 사용하는데, 사사미는 정말 희한하네!, 정말 삼송이 만들면 달라 .....08-17
김병학
(25점)

박일님. 저는 집에서 무선공유기에 잘 연결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시한번 해보시기 바랍니다. (Nespot CM 이용)
08-25
데네브
(1,000점)

유무선 공유기 나름이죠...요즘 잘 팔리는 놈들은 안되구...
그나마 넷기어, 링크시스, 기가, 랜스토리 ...정도가 되더군요...
08-26
송태영
(65점)

제가 쓰는건 asus껀데요.. 잘됩니다.09-02
강성호
(145점)

유뮤선 공유기 사용해서도 성공하셨는지요?09-03
MOTTO
(295점)

김선진님, 김병학님
두분께서 사용하시는 nespot AP제외한 무선공유기 혹은 유무선 공유기의 기종이 어떤 것인가요?
참고삼아 물어봅니다.
09-18
누아짱
(5점)

저는 유니콘 유무선공유기 사용하는데 무선랜 잘 됩니다..

감도도 11개나 나오더군요 ^^
10-14
이병철
(80점)

저는 집에서 그냥 구닥다리 AP하나 쓰고 있는데, 별도 설정하느라 애쓴 기억도 없는데... 넷스팟 서비스 없이도 사사미 무선랜으로 연결 잘되던데요? 글 쓰신 분 너무 어렵게 하신게 아닌지? 물론 접속은 넷스팟CM으로 하고, 주로 넷스팟 런쳐로 화장실 들어가서 TV보고 뉴스기사 보는게 전부입니다만... ^^11-14
박성현
(3,250점)

유선랜의 속성을 열고 "고급"을 눌러 "인터넷 연결 공유"항목의 "다른 네트워크 사용자가 이 컴퓨터의 인터넷 연결을 통해 연결할 수 있도록 허용"을 란이 왜 없는거죠?

WIN XP입니다.
01-10
아즈망가대왕
(25점)

집에서는 사용 안돼나여..?05-13
반응형